어제와 오늘 밤 사이 발생한 비 피해 상황에 대해 자세히 알아봅니다. 이연아 기자. <br /> <br />전국적은 비 피해 상황 어떻습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전국 비 피해로 5명이 숨지고 4명이 다쳤습니다. <br /> <br />경기 김포 감성교 인근에서 익사자 1명이 발견됐고, 울산 울주군 위양천에서 차량과 급류에 휩쓸린 60대 남성이 숨진 채 발견됐습니다. <br /> <br />또 부산 동구 초량동 지하차도 침수로 안에 갇힌 차량에서 3명이 숨졌습니다. <br /> <br />부상자는 부산 지하차도 침수 관련 2명, 해운대구 건설공사 현장 침수 관련 2명 등 모두 4명으로 파악됩니다. <br /> <br />이재민은 217명으로 집계됐는데, 경북 영덕 강구시장 침수로 136명, 동천 범람 등 부산 지역 침수로 80명 등입니다. <br /> <br />또 소방당국에 구조된 인원은 51명입니다. <br /> <br />시설물 피해도 잇따랐습니다. <br /> <br />주택 등 289곳이 침수됐고, 지역별로 보면 부산이 162곳으로 가장 많습니다. <br /> <br />경기도에서는 광주와 파주, 가평 등에서 한때 1001세대가 정전됐다 복구됐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사망자가 3명이나 발생한 부산 초량 지하차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볼까요. <br /> <br /> <br />[기자] <br />YTN 취재팀이 입수한 초량 지하차도 CCTV 보면서 설명 드리겠습니다. <br /> <br />지금 보시는 초량 지하차도는 부산 중앙대로와 충장대로를 연결하는 곳으로 길이 175m, 왕복 2차로입니다. <br /> <br />어젯밤 9시 30분부터 이 지하차도로 빗물이 계속 흘러내렸습니다. <br /> <br />초반에는 차량이 한 대씩 지나갔지만, 이후 빗물은 엄청난 유속을 보이며 불어났고, 도로 전체가 빗물과 함께 차오르는 모습이 보입니다. <br /> <br />10여 분 전까지만 해도 차량이 오갔던 지하차도, 말 그대로 순식간에 저수지를 방불케 할 정도로 변했습니다. <br /> <br />어젯밤 10시 18분쯤 초량 지하차도 안에 있던 차량 7대가 물에 잠겼고, 119 구조대원이 9명을 구조했지만, 60대 남성과 30대 여성, 50대 남성이 끝내 숨졌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부산이 유독 피해가 컸던 이유가 있을까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이날 부산 앞바다 만조 시간은 밤 10시 32분, 폭우가 집중됐던 시간과 겹치면서 피해가 컸다는 분석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이번 폭우로 발생한 부산 이재민은 동구 43명으로 가장 많고, 수영구 8명, 남구 6명, 기장군과 중구가 각각 1명씩으로 집계됩니다. <br /> <br />일각에서는 인재라는 분석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하차도 침수대비 매뉴얼이 있지만, 구청 재난 관련 부서 직원들이 매뉴얼대로 시행하지 않았다는 주장이 나옵니다.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00724192823781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